“홍콩보안법과 미·중 갈등, 한국 수출에도 악영향 불가피”

by
http://img.khan.co.kr/news/2020/05/29/l_2020052901003467900272281.jpg
28일 ‘홍콩 국가보안법’을 둘러싼 미국과 중국의 긴장 고조에 위안화 가치가 급락했다. 사진은 이날 서울 중구 하나은행 위변조대응센터에 마련된 위안화와 달러의 모습. 연합뉴스

홍콩보안법 제정으로 미국과 중국 간 갈등이 격화되고 미국이 홍콩에 부여한 특별무역지위를 박탈할 가능성이 생기면서 한국 수출에도 타격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9일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의 ‘홍콩보안법 관련 미·중 갈등과 우리 수출 영향’을 보면 한국은 국제금융과 무역, 물류 허브인 홍콩을 중계무역 거점으로 활용해왔다. 홍콩으로 수출하는 우리 제품은 대부분 제3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2019년 대홍콩 수출금액 중 재수출 비중은 하역료와 보관비용, 중개수수료 등을 합친 금액을 기준으로 114%에 달하며 이 중 98.1%가 중국으로 향했다. 만일 미국이 홍콩 제재를 강화해 홍콩을 중계무역 경유국으로 활용하기 어려워질 경우 단기적으로 물류비용이 늘어나는 등 수출 차질이 불가피하다.

특히 국내 반도체 대기업을 제외한 중소·중견기업은 물류비용 증가와 대체항공편 확보 등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 다만 반도체의 경우 기본적으로 무관세라 중국 직수출에 어려움이 없고, 홍콩 중계무역이 어려워질 경우 화웨이와 비야디 등 중국 주요 기업들이 있는 심천으로 직수출하거나 대만을 경유해 우회수출할 수 있어 물류비용이 약간 증가하는 선에 그칠 거라는 전망도 나온다. 화장품, 농수산식품 등 소비재의 경우 중국의 통관·검역이 홍콩에 비해 까다로워 중국 직수출시 통관 차질이 벌어질 가능성도 있다.

미국이 홍콩의 특별지위를 박탈해 중국과 마찬가지로 최고 25%의 추가 관세가 부과되면 홍콩의 대미 수출에도 부정적 영향이 불가피하다. 다만, 한국의 대홍콩 수출 중 미국으로 재수출되는 비중은 1.7%에 불과해 한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무역협회는 분석했다. 가능성은 낮지만 양국 간 갈등이 강대강으로 치달아 홍콩에서 중국계 판매법인이 철수하거나 홍콩이 금융허브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될 경우 한국 수출에 끼치는 부정적 영향도 커진다. 아직까지 시스템반도체에 국한된 미국의 중국 제재가 한국 주력품목인 메모리반도체까지 확대될 경우 반도체업계 어려움이 증폭될 수도 있다.

무역협회는 반대로 미·중 갈등 확대가 한국에 기회가 되는 측면도 있다는 분석도 함께 내놨다. 중국이 홍콩을 거쳐 미국에 수출하던 길이 막히면 한국 기업들의 대미 수출이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다. 미국의 중국 제재를 강화하면 석유화학, 가전, 의료·정밀, 광학기기, 철강 제품, 플라스틱 등 한국과 중국이 경쟁하는 영역에서 한국 기업들에게 반사이익이 돌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