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마감]다우 2.2%↑…3월 이후 처음으로 2.5만 돌파

S&P지수 3000선 넘어…200일 이평선도 뚫어

by
https://image.news1.kr/system/photos/2020/5/28/4213673/article.jpg/dims/optimize
뉴욕증권거래소 © AFP=뉴스1

뉴욕 증시가 이틀 연속 크게 올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의 전쟁에서 승기를 잡았다는 기대감이 미중 갈등과 암울한 경제전망을 앞서며 증시는 환호했다.

◇강세장 신호탄: 27일(현지시간) 다우지수는 전장 대비 553.16포인트(2.21%) 급등한 2만5548.27를 기록했다. 다우는 종가 기준으로 3월 10일이후 처음으로 2만5000선을 넘겼다.

스탠다드앤푸어스(S&P)500 지수 역시 44.36포인트(1.48%) 상승한 3036.13으로 거래를 마쳤다. S&P 역시 3월 5일 이후 처음으로 시장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3000선을 뚫고 올라 섰다. 특히 종가로 200일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하면서 장기적 상승추세의 시작을 알렸다.

나스닥 지수도 전장 대비 72.14포인트(0.77%) 오른 9412.36으로 마감됐다. 나스닥은 오전장에서 하락세를 나타냈지만, 미국 반도체 마이크론테크놀로지의 전망 상향에 힘입어 상승 전환했다.

마이크론은 실적보고에서 3분기 매출전망을 기존의 46억~52억달러에서 52억~54억달러로 상향 조정했고, 주가는 8% 뛰었다. 다만, 전반적으로 그동안 코로나19 특수를 누렸던 나스닥의 상승폭은 제한적이었다.

◇"랠리 확산": 그동안 코로나19에 짓눌렸던 종목들은 날개를 달았다. 크루즈업체 카니발과 항공사 유나이티드에어라인은 5.9%, 3.9%씩 뛰었다. 제너럴일렉트릭은 130년 역사의 조명사업부 매각 발표에 7.2% 상승했다.

은행주들도 대부분 크게 올랐다. JP모간체이스, 씨티그룹은 각각 5.8%, 8.5%씩 상승했다. 은행 관련 상장지수펀드(ETF)인 KBE와 KRE는 7% 이상 올라 모두 4월 이후 최고의 주간 상승률을 향했다.

반면 봉쇄로 크게 올랐던 기술주들은 일제히 하락했다. 화상회의 소프트웨어업체 줌은 1.2% 내렸고 동영상업체 넷플릭스는 1.2% 올랐다. 전자상거래업체 아마존 0.5%, 아마존의 대항마로 떠오른 쇼핑몰 솔루션업체 쇼피파이 2.3%씩 밀렸다.

내셔널증권의 아트 호간 수석시장전략가는 봉쇄 이후 억눌렸던 종목들이 반등하는 "전환"에 익숙해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러한 전환은 랠리가 기술주에 국한하지 않고 널리 퍼진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https://image.news1.kr/system/photos/2020/2/25/4070099/article.jpg/dims/optimize
넥서스 사이언스 커뮤니케이션과 트리니티 칼리지가 공동 제작한 코로나19 바이러스 모형도. © 로이터=뉴스1

◇"2차 대유행 피할 수 있다": 이제 미국의 50개주는 모두 봉쇄를 완화하기 시작했고 뉴저지주는 스포츠 관람도 제한적으로 허용한다. 봉쇄 완화로 경제 정상화가 본격화하며 경제가 V자형으로 강하게 반등할 것이라는 낙관론이 커졌다.

마이클 다르다 MKM 수석이코노미스트는 "경제 활동이 재개되면서 사실상 모든 주가 반등을 보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앤소니 파우치 전미 전염병 알레르기 연구소장의 긍정적 발언도 랠리에 한몫했다. 파우치 소장은 미국이 올가을 코로나19의 2차 유행을 피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멍완저우 석방 실패: 하지만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전망은 암울했고 미중 갈등은 격화하며 증시는 불안을 완전히 떨칠 수는 없었다. 연준은 이날 발간한 보고서(베이지북)를 통해 기업들이 경기회복에 비관적이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넉넉한 실업수당과 부족한 보육인프라로 인해 복직 의지가 약해졌다고 분석했다.

미중 갈등은 격화할 모양새다. 미 정부가 타깃으로 삼고 있는 중국의 통신장비업체 화웨이의 최고재무책임자 겸 부회장인 멍완저우가 미국으로 송환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멍 부회장이 체포된 캐나다의 법원은 그의 미국 송환요건인 '이중범죄규정'이 충족된다고 이날 판결했다.

또, 이날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홍콩에 자치권이 없다는 사실이 분명해졌다며 미국법에 따른 특별지위 대우를 보장받을 수 없다고 말했다.


kirimi99@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