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중국의 신(新)서부대개발/오일만 논설위원
미국과 중국의 관계는 돌이킬 수 없는 것일까. 코로나19 책임론에 이어 홍콩 국가보안법을 둘러싼 미중 갈등이 패권전쟁으로 치닫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모든 관계를 단절하겠다’는 최후통첩을 날린 상황이다. 미국의 보수 성향 싱크탱크 해리티지재단은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미국과 중국이 대이혼(디커플링)에 직면했다”고 진단했다. 미중 패권경쟁은 무역 및 기술, 공급망, 금융 및 투자, 국제정치 등 다방면에서 격돌과 대립 양상을 지속할 것이란 관측이 주류를 이룬다.
트럼프 대통령이 던진 초강수에 맞서 중국은 수출에서 내수 중심의 경제발전 카드를 꺼내 들었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23일 중국공산당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에 참석해 “우리는 앞으로 국내 수요를 충족시키는 것을 발전의 출발점 및 목표점으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한 것이다. 그동안 중국의 경제전략은 미국 중심의 글로벌 가치 체인에서 수출 중심의 성장모델이었다. 2001년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이후 ‘세계의 공장’으로 불린 이유다. 하지만 상황이 급변하면서 중국은 자급자족을 추구하며 경제를 부양하는 내수 중심의 모델로 전환하고 있다. 이런 전략 전환은 향후 2~3년간 글로벌 경제가 회복되지 못할 거라는 현실적 판단도 깔려 있다.
중국 정부가 최근 ‘서부로 가자’(Go West)라는 구호를 앞세워 신(新)서부대개발을 추진하는 것도 이런 맥락이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는 최근 ‘2020년 국민경제와 사회발전계획 초안’에 ‘신시대 서부 대개발’이란 프로젝트를 제시했고 인민일보 역시 “2035년까지 서부지역의 공공서비스, 기초시설, 주민생활수준 등을 동부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1999년 장쩌민 전 국가주석 시절 추진했던 ‘서부 대개발 전략’을 업그레이드한 시즌2에 해당된다. 쓰촨성과 티베트를 연결하는 철도와 장강 일대를 따라 달리는 고속철도, 공항과 댐 건설, 각종 관개 사업 등이 핵심이다.
내년부터 시작되는 14차 5개년(2021~2025년) 경제개발계획에서 신서부대개발은 주요한 역할을 맡을 것으로 관측된다. 12개 성·시·자치구와 3개 자치주를 포괄하는 대규모 사업이다. 이들 지역은 중국 전체 면적의 71%를 넘는다. 더욱이 중국 전체 인구의 25%, 국내총생산(GDP) 총액은 20%밖에 되지 않아 발전의 여지도 상당하다. 아울러 중국 정부는 중동, 동남아, 유럽 등으로 경제 영토를 넓히는 일대일로(一帶一路·육해상 실크로드) 사업과 연계해 서부 지역을 개발,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으려는 계산도 담겨 있다. 세계 최강 미국의 전방위 공격을 막아낼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oilman@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