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면역’ 스웨덴, 봉쇄령 해제 국면서 기피 대상 됐다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대유행 속에서 봉쇄령 대신 집단면역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는 스웨덴이 점차 국경을 재개방하려는 유럽 국가들의 기피 대상이 되고 있다.
봉쇄 조치를 통해 가까스로 감염률을 어느 정도 낮춘 뒤 봉쇄령을 해제하려는 국가들로선 아직 감염률과 사망률이 높은 스웨덴에게만큼은 국경을 열기 위험하다고 보고 있는 것이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26일(현지시간) 안 린데 스웨덴 외무장고나은 최근 키프로스공화국이 국경 재개방 대상에 스웨덴을 제외한 것에 대해 “차별하는 것을 원치 않는다”며 반발했다.
앞서 키프로스공화국은 오는 6월 9일부터 상업 항공편을 재개하지만 스웨덴 등 일부 국가에서 오는 직항은 허용하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다.
키프로스공화국은 이러한 결정이 “기초적 역학 지표”에 대한 위험 평가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스웨덴의 린데 장관은 오는 29일 유럽연합(EU) 장관회의에서 키프로스공화국과 이 문제에 대해 직접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EU 회원국들이 자국민에게 영향력을 과시하기 위한 정치적 행위를 시도하는 대신 사실을 중시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스웨덴을 입국 허용 국가에서 제외한 방침을 각국의 국내 정치적 행위로 규정한 것이다.
스웨덴은 코로나19 대응책으로 엄격한 봉쇄를 택했던 여타 국가들과 달리 제한적 거리두기를 시행해 국민 대다수가 면역력을 가지게 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집단면역’ 방식을 택해 주목받았다.
스웨덴 정부와 보건당국은 코로나19가 단기간에 종식되기 어렵기 때문에 급작스럽고 일시적인 봉쇄 정책은 효과적인 대책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해 왔다.
그러나 지난 4월말까지 수도 스톡홀름에서 코로나19 항체를 보유한 비율이 전체 인구의 7.3%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현지 연구가 지난 21일 공개되면서 집단면역 방식의 대응이 과연 실효성이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됐다.
집단면역이 효력을 가지려면 전체 인구의 60% 이상이 항체를 보유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집단면역을 확보하는 과정에서 고령층 등 면역력이 약한 집단은 치명적인 위험을 안게 됐다는 지적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최근 스웨덴의 코로나19 사망자가 급증하면서 스웨덴 내부에서도 다른 나라처럼 봉쇄령을 택했어야 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국제통계사이트 월드오미터 집계에 따르면 현재 스웨덴의 인구 100만명당 코로나19 사망자는 409명으로 덴마크(97명), 핀란드(56명), 노르웨이(43명) 등 인접 국가들보다 월등히 많다.
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키프로스공화국 외에도 인접 국가들 사이에서 스웨덴에 대해서만큼은 국경을 재개방하는 것을 재고해야 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린데 장관은 자국의 코로나19 대응법과 관련해 어떤 모델이 가장 효과적인가는 시간이 지나서야만 알 수 있다고 주장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