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분석]네이버가 던진 화두 , '음원 사재기' 없어질까

2019년 상반기 음원시장 이슈를 이끈 곳은 네이버다. 네이버는 이미 지난해 국내 업체 중 가장 먼저 실시간차트를 폐지한데 이어 올해 'VPS(VIBE Payment System)'라는 아티스트 중심 정산제를 발표했다.

네이버가 운을 띄운 실시간 차트 폐지와 VPS는 '재생 수에 따른 음원사용료 배분'-'반복재생'-'차트경쟁'으로 이어지는 악순환 고리를 끊는 시도로 주목 받는다. 기존 업체들은 네이버 움직임을 예의주시한다. 네이버라는 강력한 플랫폼이 배경이기 때문에 자칫 판도가 흔들릴 수 있다.

네이버는 네이버뮤직, 바이브 등 음원플랫폼을 운영한다. 멜론, 지니, 플로에 이어 국내 음원플랫폼 점유율 4위권이다. 올해 네이버뮤직과 바이브를 통합하고 네이버플러스 등 프리미엄 멤버십 적용이 완료되면 점유율 상승에 탄력을 받을 것을 전망된다.

◇네이버, 실험적 도전으로 헤게모니 균열 시도

네이버는 바이브를 '인공지능(AI) 뮤직서비스'로 부른다. 취향과 주변 맥락까지 이해해 음원을 추천한다는 것이다. 네이버가 가진 아시아 최고 수준 AI 노하우를 집약했다.

바이브는 기본적으로 사용자를 비슷한 취향 가진 그룹으로 묶고 해당 그룹에서 많이 소비한 음악을 추천한다. 이에 더해 네이버가 자체 개발한 콘텐츠 추천 시스템 에어스(AiRS)와 에이아이템즈(AiTEMS)를 음악 콘텐츠에 접목했다. 협력 필터링(Collaborative Filter) 모델과 딥러닝으로 사용자 패턴을 분석하고 개별음원을 분석해 개인 맞춤형 플레이리스트를 제공한다. 기계가 사용자가 좋아할만한 곡을 예측하는 것이다.

네이버가 실시간차트를 가장 먼저 폐지한 것은 이런 자신감의 발로다. 차트 없이 자동으로 이용자가 좋아할 만한 새로운 음원을 소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VPS 도입 역시 실시간차트로 인한 불공정, 과열경쟁을 개선하는 취지다. 국내 음원플랫폼이 대부분 적용한 비례배분제는 전체 음원 재생 수에서 특정 음원 재생 수가 차지하는 비중에 따라 음원 사용료를 정산하는 방식이다.

국내 음원플랫폼 요금구조가 대부분 정액제인 것을 감안하면 단순하고 편리하다는 것이 장점이다. 하지만 실시간차트를 활용한 왜곡이 심하다는 지적을 받는다.

비례배분제는 이용자가 지출한 총 금액과 광고비 등 전체 수익에서 운영비를 제한 다음, 전체 이용자 총 재생수로 나눠 곡당 단가를 산정한다. 여기에 특정 음원 재생 수를 곱해 각 저작권자에게 갈 금액을 정한다.

곡을 듣는 사람 보다 절대 재생 수가 배분 금액에 큰 영향을 미친다. 소수가 반복해 음원을 재생하는 행위는 아티스트 수익 증가와 직결된다. 때문에 팬덤을 중심으로 실시간차트 진입을 노린 반복재생, 매크로 사용 등 부작용 근원이라는 지적을 받았다.

반면 VPS는 이용자가 실제로 들은 음악 저작권자에게만 음원사용료를 지급한다. 네이버는 VPS 도입으로 음원사용료 배분이 투명해지고 창작생태계 건전성이 나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인기 아티스트는 물론 시대를 아우르는 음악이나 비주류 장르 음악 활동을 펼치는 독립 아티스트에게도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네이버는 최근 지난해 7월부터 12월까지 바이브 무제한 듣기 상품 이용자 대상 상위 재상 20만 곡에 대한 로그 데이터에 VPS를 적용해 분석했다. 아티스트를 아이돌, 인디, 트로트 등 5개 군으로 분류해 VPS로 정산했더니 최소 10%에서 최대 74%까지 금액이 높아졌다.

소수 이용자가 반복 재생하는 아티스트는 음원 수익이 줄어들었다. 가수 A의 경우 곡을 듣는 이용자는 전체 0.1%이었으나 재생 수 점유율은 1%였다. VPS를 도입하면 기존 비례 배분 방식보다 음원 수익이 66% 감소한다. 아티스트에게 제대로 된 수익을 보장하고 반복재생 같은 부작용은 줄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태훈 네이버뮤직비즈니스 리더는 “VPS에서는 '폭넓게 사랑받는 아티스트'일수록 사용료가 증가할 것”이라면서 “팬층이 두껍다면 장르 불문하고 정산 금액이 늘었다”고 말했다.

이 리더는 “소수 팬덤의 반복 재생으로 인한 사용료 정산 편중 현상도 해소 가능하다”면서 “기존 정산 방식 대비해 보다 다양한 음원에 수익 배분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글로벌 음원 스트리밍 서비스 스포티파이 역시 최근 비슷한 실험을 진행했다. 외신에 따르면 스포티파이가 프리미엄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결과, 비례배분방식으로는 상위 0.4% 아티스트가 전체 저작권 10%를 가져가는 것에 비해 VPS와 유사한 '이용자 중심 정산' 방식으로는 5.6%를 가져갔다. 사용료 몰아주기 현상이 개선된 것이다.

https://img.etnews.com/photonews/2005/1304684_20200527105650_560_0001.jpg
<SBA 미디어콘텐츠센터. 사진=SBA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기득권의 높은 허들...“효과 검증 안 돼” 반론도

기존 음원플랫폼은 네이버의 움직임에 긴장하는 동시에 회의적으로 바라본다. 주목하지만 실제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란 속내다. 주요 음원플랫폼은 4월 네이버 VPS 발표 이후 내부 데이터를 활용해 자체 시뮬레이션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음원플랫폼 한 관계자는 “네이버가 사례로 발표한 것은 아주 특징적인 일부 아티스트”라면서 “전체 아티스트를 대상으로 시뮬레이션 한 결과 정산결과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다른 회사 관계자 역시 “아직까지 마케팅 의미가 더 큰 것 같다”고 평가했다.

음원저작권 신탁협·단체, 음원 유통사 등 넘어야 할 산도 많다. 네이버는 VPS 적용을 위해 저작권단체, 유통사 등과 협의 중이다. 일부가 VPS 적용에 참여 의사를 밝혔지만 주요 협·단체나 회사는 유보적 입장이다. 거대 음원플랫폼이 음원유통업을 겸하고 있다는 것도 상황을 낙관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소다.

음원 업계 관계자는 “협·단체나 음원 유통사는 기존에 가지고 있던 기득권을 놓기 어려울 것”이라면서 “효과가 명백히 검증되지 않은 상황에서 배분 구조를 전면 바꿨다가는 오히려 책임론에 휘말릴 수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음원 업계는 문체부 장관 승인을 받는 신탁단체 음원사용료 징수규정에 명시되어 있는 최저 재생 단가를 변경해야 한다는 것도 부담이다.

국내 음원플랫폼은 '4.2원'과 '전체 음원플랫폼 수익을 전체 재생횟수로 나눠 책정한 곡 당 재생 단가' 중 높은 금액으로 곡 당 재생단가를 책정한다. 즉 곡 당 4.2원은 보장하는 셈이다.

이는 비례배분제가 전제다. VPS를 도입하면 기준을 바꿔야 한다. 음원업계 관계자는 “VPS를 도입하면 단가를 바꿔야 하는데 이것이 저작권자에게 유리한지 아닌지를 따져 봐야한다”고 말했다.

네이버 관계자는 “바이브는 VPS를 도입한다고 하더라도, 현재 징수규정을 준수해 아무리 해당 이용자 재생 수가 많더라도 곡당 4.2원 이상 사용료를 배분할 것”이라면서 “다만, 현재 통용되고 있는 징수규정 자체가 비례배분제를 도입한다는 가정 하에 정해졌기 때문에 새로운 정산 방식에서는 해당 규정 변경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김시소기자 sis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