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무대 20주년 소프라노 임선혜...'나를 만든 아름다운 인연들'

by
http://img.khan.co.kr/news/2020/05/27/l_2020052701003199600250411.jpg
EMK엔터테인먼트 제공

1999년 12월, 스물세 살의 소프라노 임선혜는 벨기에 브뤼셀로 가는 새벽 기차를 타고 있었다. 고음악의 거장으로 손꼽히는 지휘자 필립 헤레베헤(73)의 오디션을 보러 가는 길이었다. 모차르트의 모테트 ‘Exsultate, jubilate’(기뻐하라, 환호하라)와 <c단조 미사> 중 ‘Et incarnatus est’(성령으로 잉태하시고)를 노래할 예정이었던 소프라노가 컨디션 난조로 무대에 설 수 없었기 때문이다. 헤레베헤 측에서 다급히 ‘대타’를 물색하다가 독일 칼스루에 음대 학생이던 임선혜에게 찬스가 왔다. 당시 오디션을 주선한 매니저가 임선혜에게 “c단조 미사의 아리아를 해봤어?”라고 묻자, 이 당돌한 유학생은 “아, 한국에서 여러 번 해봤죠!”라고 둘러댔다. 그만큼 무대가 욕심났다. 하지만 당시 임선혜는 헤레베헤가 음악계에서 어느 정도의 지휘자인지도 까맣게 몰랐다. 아직 어린 그는 유럽 음악계 자체에 무지했다. 그저 무대에 오를 욕심에, “칼스루에에서 브뤼셀까지 달려가는 7시간 동안 (처음 불러보는) 악보를 달달 외웠다.”

당돌한 도전은 성공했다. 헤레베헤는 이 공연 직후, 베를린 콘체르트 하우스에서도 모차르트의 아리아를 부르지 않겠냐고 제안한다. ‘노래하는 작은새’ ‘아시아의 종달새’(임선혜의 별칭)는 그렇게 유럽 무대에 데뷔했다. 직후 임선혜는 독일의 권위 있는 오페라 전문지 <오펀벨트>에서 ‘2001~2002 시즌의 주목되는 신인’으로 선정되면서 부상했다. 이후 20년간 수많은 공연과 음반으로 호평을 받았다. 그중에서도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은 “우리 시대의 위대한 소프라노 가운데 한 명”이라는, 확신에 가득한 찬사를 내놨다.

어느덧 유럽 데뷔 20주년을 맞은 임선혜를 전화로 만났다. 애초에는 “당신의 20주년을 상징하는 서너 개의 키워드는 무엇인가?”라고 물었는데, 임선혜는 곰곰이 생각하더니 “오늘의 나를 있게 해준 아름다운 인연들에 대해 말하면 어떻겠냐?”고 제안했다. 인터뷰는 그렇게 시작됐다. 그의 말을 1인칭으로, 최대한 가감없이 전한다.

http://img.khan.co.kr/news/2020/05/27/l_2020052701003199600250412.jpg
EMK엔터테인먼트 제공

내 데뷔는 어느날 갑자기 찾아온 우연이었다. 나는 그게 데뷔인지도 몰랐다. 이 기억은 지금도 내게 많은 걸 생각하게 한다. 인생은 우연의 연속이며 삶은 예측할 수 없다. 나는 지금도 많은 사람들을 만나고 새로운 우연과 대면한다. 그 우연들 덕분에 좌절하지 않는다. 그것이 내가 지닌 낙천성의 뿌리다. 세상에는 나보다 훨씬 더 많이 노력하는 사람들이 있다는 걸 나는 안다. 하지만 노력만으로 성공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나는 수많은 우연의 도움을 받으며 여기까지 왔다. 그렇게 우연과 우연이 쌓여 필연이 된다는 걸 알고 있다.

그 필연을 인연이라고 부르고 싶다. 그중에서도 나는 어린 시절의 스승이셨던 테너 최대석 선생님을 잊을 수 없다. 강원도 철원이 고향인 고등학교 2학년은 재능에 대한 확신을 도무지 갖지 못했다. 아버지는 군무원이셨다. 나는 조수미의 <노래에 살고 사랑에 살고>를 읽으면서 음악가가 되고 싶다는 열망에 빠졌고, 레슨도 한번 안 받은 채 전국에서 열리는 콩쿠르에 도전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 길이 ‘내 길’이라는 확신은 없었다.

그러다가 선생님을 만났다. 내 노래를 들으시더니 “어디서 이런 친구가 왔는고!”라며 환호작약하셨다. “너는 당연히 성악을 해야지”라고 말씀하셨다. 그래도 나는 뭔가 두려워 우물거리며 말했다. “저는 학교 성적이 괜찮은 편이어서 그냥 일반 대학 가도 됩니다. 집안 형편도 유학을 감당할 만큼 여의치 않구요.” 그러자 선생님은 “아무 것도 가져올 필요 없다”고 하셨다. 그렇게 인연이 시작됐다.

나는 선생님과 공부하면서 음악가에 대한 편견이 사라졌다. 음악가는 예민하고 까탈스러운 사람이라는 편견은 선생님의 소탈하고 따뜻한 성품에 용해됐다. 댁에서 레슨을 받고 500m쯤 떨어진 버스정류장까지 가면서 나는 깡총깡총 뛰었다. 첫 스승의 레슨은 신이 났다. 실력이 느는 것이 온몸으로 느껴졌다. 그렇게 나를 가르쳤던 스승은 내가 유럽 데뷔 2년차에 돌아가셨다. 나중에 사모님이 이렇게 말씀하셨다. “병석에 누워계실 때 선혜가 노래한 하이든의 <에스테르하지 칸타타>를 날마다 들으셨단다.” 아, 선생님! 같이 찍은 사진 한 장 남기지 못했다는 사실이 그렇게 마음 아릴 수가 없었다. 지금 베를린의 내 집에는 작게 축소한 선생님 영정이 있다. 나는 그 사진을 냉장고 도어에 붙여놨다. 지금도 날마다 바라본다.

물론 내게는 두 분의 중요한 스승이 더 계신다. 소프라노 박노경 선생님과 독일에서 나를 가르친 바리톤 롤란트 헤르만 선생님이시다. 내 노래의 어머니, 아버지다. 나중에 알고 보니 두 분은 같은 스승에게 배운 동문이셨다. 2008년 한국에서 첫 독창회를 가졌을 때 두 분이 처음 만나 즐거워하셨다. 그때 깨달았다. 내 노래가 ‘하나의 결’을 가질 수 있었던 이유가 두 분의 뿌리가 같기 때문이라는 것을.

내 소중한 인연 속에는 스승도 계시지만, ‘음악적 멘토’라고 부를 수 있는 우리 시대의 거장들도 있다. 나는 필립 헤레베헤를 통해 유럽에 알려졌으나, 개인적으로는 르네 야콥스(74)에게 더욱 깊은 인연을 느낀다. 2006년 거장 야콥스는 모차르트 오페라 <돈조반니>의 ‘체를리나’ 역으로 나를 캐스팅했다. 독일 바덴바덴에서 열렸던 이 공연은 세계 여러 나라에 생중계되면서 나를 ‘모차르트 소프라노’로 인식시켰다. 한동안 내 트레이드 마크와도 같았던 ‘명랑 캐릭터’는 이 공연에서 연유한다. 그런데 얼마 후 야콥스는 역시 모차르트 오페라 <이도메네오>의 ‘일리아’를 제안했다. 체를리나와는 전혀 다른, 서정적이고 비극적인 캐릭터다. 야콥스는 그렇게 내 속을 들여다봤다. 나도 잘 모르는 ‘나’를 이끌어냈다. 그는 인간에 대해, 특히 동양인에 어떤 선입견도 없는 거장이다.

그가 모차르트 이후에 또 제안한 것은 바흐였다. 어느날 연습실에서 <마태수난곡>의 아리아를 노래해보라고 하더니, 본인이 직접 피아노 앞에 앉아 반주했다. 사실 유럽에서 바흐의 수난곡은 동양인 소프라노에게 왠만해선 돌아오지 않는 작품이다. 자신들만의 영역으로 고수하는, 내 입장에서 보자면 진입 장벽이 높은 레파토리였다. 그날 연습실에서 바흐를 주문했던 야콥스가 말했다. ‘선혜, 내가 수난곡을 지휘할 때 꼭 같이 해주겠니?’ 그 말은 2013년 <마태수난곡> 녹음으로 현실화됐다. 3년 뒤 <요한수난곡>을 또 같이 했다.

http://img.khan.co.kr/news/2020/05/27/l_2020052701003199600250413.jpg
EMK엔터테인먼트 제공

오스트리아 지휘자 만프레트 호네크(62)는 비교적 최근에 만났지만 나에게 많은 영감을 준다. 알려져 있다시피 그는 고음악을 전문으로 하는 지휘자가 아니다. 하지만 그가 지휘하는 투명한 모차르트를 듣고 있노라면, 굳이 모차르트를 고악기로 연주할 필요가 있을까라는 의구심이 들 정도다. 그만큼 호네크의 해석과 지휘는 뛰어나다. 이 훌륭한 지휘자와 모차르트의 <이도메네오>, <휘가로의 결혼>을 같이 할 수 있어서 행복했다. 게다가 거기서 끝이 아니었다. 이분은 내 음악적 영역을 또 다른 지점으로, 다시 말해 말러의 교향곡(4번)으로까지 넓혀줬다.

현재 그는 미국 피츠버그 심포니의 상임지휘자다. 솔직히 말해, 실력만으로 보자면 그는 유럽의 일급 오케스트라에 있어야 할 사람이다. 어느날 대화중에 그 마음을 읽은 호네크가 말했다. “선혜, 죽은 뒤에 하늘에 갔을 때 신이 나에게 어떤 질문을 던질까? 너는 베를린 필하모닉을 지휘했는가, 과연 그렇게 물으실까?” 독실한 가톨릭 신자인 그는 그 말을 하곤 한동안 침묵했다. 그때의 표정과 눈빛이 지금도 잊히지 않는다. 그 순간 그가 내게 전해준 메시지는 ‘커리어를 위해, 잘 나가기 위해 음악을 하는 것은 아니다’라는 잠언이었다. 이 진실한 음악가를 보면서 나는 희망과 용기와 위로를 얻는다. 그렇게 내가 만난 수많은 인연들이 모여 지금의 ‘소프라노 임선혜’가 됐다. 지금도 나는 여전히, 아름다운 인연에 목마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