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硏 "코로나19로 부실기업 늘어…성과별 지원책 필요"

by

2018년 기준 저성과기업 내 부실기업 비중 15% 달해
"무차별적 지원은 자원의 비효율적 배분을 초래할 것"

https://image.newsis.com/2019/12/02/NISI20191202_0000439876_web.jpg?rnd=20191202180951

[서울=뉴시스] 이승재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경제 충격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기업 성과에 따라 차별화된 지원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견해가 나왔다.

산업연구원은 25일 이런 내용을 담은 '코로나19 이후 경제 회복을 위한 정책과제' 보고서를 내놨다.

보고서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리 경제의 회복 과정에서 저성과 기업의 성장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고 분석했다. 여기서 저성과 기업은 기업별 생산성을 바탕으로 업종별·연도별 백분위에 따라 하위 40% 기업을 뜻한다.

수치로 보면 2014년 기준 저성과기업의 평균 생산성은 2009년과 비교해 약 18% 증가했다. 이는 국내 기업의 평균 생산성 증가 폭을 웃도는 수준이다.

이 과정에서 국내 부실기업의 비중도 줄었다. 부실기업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이자보상배율이 3년 연속 1 이하인 기업이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 활동을 통한 이자비용 부담 능력과 단기 지급 능력을 나타내는 재무건전성 지표다.

2008년 기준 국내 부실기업 비중은 5.9%를 기록했고 2011년에는 이 수치가 4.9%까지 하락했다.

문제는 이 부실기업의 비중이 최근 들어 꾸준히 증가세를 보였다는 점이다.

특히 저성과 기업 내 부실기업 비중은 2018년 기준 15.1%까지 증가했다. 동시에 저성과기업의 평균 생산성은 2015년 정점을 찍은 이후 2018년까지 6%가량 감소했다.

보고서는 코로나19에 따른 경제 충격 종료 시점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이 기업들의 부실화를 면밀히 관찰해야 한다고 말한다.

또한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처럼 생산성 향상을 통한 경제 회복을 위해서는 옥석을 가려낼 수 있는 효율적인 기업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코로나19 발발 이전 이미 국내 저성과 기업 내 부실기업 비중이 이례적으로 높아 모든 기업에 대한 무차별적 지원은 자원의 비효율적 배분을 초래할 위험이 크다"고 경고했다.

이어 "상대적으로 생산성이 높은 기업이 부실화되고 퇴출돼 경제 전체의 중장기 생산성이 감소하지 않도록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russa@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