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를 대하는 미국 언론 vs. 한국 언론

[190여명 태운 우한 발 비행기 도착한 미국 현지에서] 어느 나라나 과장과 혐오는 존재하지만

by

현지시각 29일 아침, 미국인 190여 명을 태운 비행기가 캘리포니아에 도착했다. 하루 전 우한을 출발해 알래스카에서 급유 후 최종 목적지에 도착한 것. 이들은 근처 공군기지에서 72시간 동안 발열 여부 등을 측정받고 미감염자는 각자의 집으로 돌아갈 예정이다. 저녁 뉴스 첫 번째 꼭지였지만 진행자는 질병관리국 담당자의 간단한 상황 설명과 부감으로 잡힌 비행기 사진으로 이 사실을 건조하게 전달한다.

그리고 유튜브로 접한 아산의 반대 시위 소식. 트랙터를 몰고 와 연수원의 입구를 막고 설명하는 차관에게 물을 뿌린다. 여기에 "시민 불안을 예측 못한 관계 당국" 운운하는 기자의 멘트까지. 미국 사는 나도 이리 불편한데 중국 우한에서 이 뉴스를 실시간으로 보고 있을 이들의 심정은 어떨까? 죄인도 아닌 이들 중엔 귀국을 포기하는 이도 있을 수 있겠다 싶다. 같은 나라 사람들에 대한 실망감과 배신감은 바이러스보다 무서워 보인다.

바이러스보다 무서운 것
 

http://ojsfile.ohmynews.com/STD_IMG_FILE/2020/0131/IE002597953_STD.jpg
 우한에서 수송해 온 미국인들이 공항에 도착하고 있다. ⓒ ABC News

미국 사는 한국인 커뮤니티에도 '차별당했다'는 체험담이 심심치 않게 보인다. 길 가다 기침을 했는데 오만상을 지으며 쳐다보던 노인 얘기부터, 가게 손님이 자신을 가리키며 나오지 않게 해달라고 매니저에게 항의했다는 불쾌한 경험까지. 개인위생을 넘어 예의 없는 이들은 어느 사회에나 있다 싶다. 하지만 그런 개인의 경험들을 어느 신문에서도 방송에서도 본 적은 없다. 사람들의 우려를 확대 과장 왜곡한 언론은 아직 보이지 않는다.

굳이 이 시기에 차이나 타운의 비위생을 심층 취재해 보여주지 않는다. 미국인과 다른 아시아인들의 식습관을 비웃지 않는다. 우한에 있는 미국 시민을 태운 비행기가 정확히 어느 공항에 착륙했고, 왜 3일만 격리하고 집으로 돌려보내는지 굳이 따지지 않는다. 다만 지금까지의 의심 환자와 확진 환자는 어느 지역에서 발생했고 개인적 차원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를 차분히 알려줄 뿐이다.

환자의 국적 같은 건 알 수 없다. 그래서 한국 뉴스에 간이 콩알만해졌던 나도 미국 뉴스를 보면서 안정을 찾고 있다. 다음 주 검진을 위해 차이나타운 한복판에 있는 치과에 갈 예정인데, 간 김에 딤섬과 오리고기도 전처럼 먹고 오려고 한다.

하지만 서울 대림동은 못 갈 것 같다. 가래침 운운하는 <헤럴드경제> 기사를 이미 보았기 때문이다. 중국인들을 상대로 장사하는 상인들에게 마이크를 들이대고 장사가 안된다는 인터뷰까지 들었는데, 굳이 일부러 가고 싶어지진 않는다. 그래서 생각했다. 사람들의 인식 수준은 어느 나라나 다 비슷하지만, 이를 다루는 언론은 분명 차이가 난다는 것을.

바이러스 발병 이후부터 지금까지 유심히 지켜본 미국의 언론은 담담함 그 자체다. 자유롭게 얘기하는 토크 프로에서도 평소보다 손 잘 닦고 기침할 때 꼭 팔로 가리는 등 개인위생에 신경 쓰자고 강조할 뿐이다. 아시아인들에 대한 혐오를 표출하는 것도, 아시아 커뮤니티를 적대시하는 것도 보이지 않는다.

더불어 우한에서 온 자국민들을 경계하는 대신 자발적으로 현지에 남은 이들과 피치 못하게 가족들과 헤어진 이들을 위로한다. 이 사태가 빨리 잠잠해져서 이들이 어서 빨리 일상으로 돌아가기를 기원한다. 그러니 앞의 사람들처럼 대놓고 싫은 티를 내는 이들은 다른 이웃에게 지적 당하고 매니저가 손님에게 항의한다. 그건 오버고 혐오라면서. 이런 인식의 저변에는 혐오가 당연했던 앞 세대에서 얻은 교훈도 있었을 것이다.

미국 인권사의 반면교사가 된 백인들
 

http://ojsfile.ohmynews.com/STD_IMG_FILE/2020/0131/IE002597955_STD.jpg
 관람객들이 저장된 흑인인권관련 기록들을 찾아보고 있다. (국립 아프리칸 아메리칸 뮤지엄에서) ⓒ 최현정

미국 워싱턴 D.C.의 많은 국립 박물관 중에 가장 최근에 만들어진 곳은 아프리칸-아메리칸 뮤지엄이다. 백악관 건너 워싱턴 기념탑이 한눈에 보이는 곳에 위치한 역사박물관. 지하 3층 지상 4층짜리 이 건물은 흑인 노예의 시작부터 쇠고기처럼 사고 팔렸던 흔적들, 세계 대전 참전부터 현재 미국을 이룩한 흑인들의 활약상들이 광대하고 꼼꼼하게 기록되어 있다. 아프리칸 아메리칸의 시각으로 미국의 역사를 볼 수 있는,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박물관 중의 하나이다. 이 영광스러운 박물관 한편을 차지하고 있는 사진 중에 유명한 '리틀 록 나인(Little Rock Nine)'이 있다.

등교하는 흑인 학생 뒤로 야유하는 백인 학생들, 그 뒤엔 무장한 군인들이 서 있는 살벌한 순간. 1957년 9월, 미국 남부 알칸사스에 있는 센트럴 고등학교의 아침 풍경이다. 알칸사스 주지사는 주민들과 학생, 학부모의 민원이라며 주 방위군으로 학교를 둘러싸게 했다. 인근의 흑인 학생을 받으라는 대법원의 결정을 거부한 것이다.

이에 9명의 흑인 학생들이 등교를 결정한다. 이때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1000여 명의 연방군을 이 도시에 보내고 주지사의 군대를 연방화시킨다. 대통령이 보낸 군대는 흑인 학생들을 보호하고 그들에게 위해를 가하려는 백인 학생들을 저지한다. 집에 전화가 없던 엘리자베트 엑포드는 변경된 등교 시간을 전달받지 못했고, 8명 학생들과 따로 등교를 해야 했다. 지금으로부터 63년 전 미국에서의 일이다.

위 사진에 등장하는 이들 모두는 자신의 인생에서 1957년 9월 그날을 잊을 수 없을 것이다. 세월이 흘러 역사는 사진 속 인물들에게 승자와 패자란 스티커를 붙일 수 있게 되었다. 엘리자베트 엑포드는 아프리칸-아메리칸 박물관 한편에 당당히 이름을 남긴 것은 물론이고 역사 교과서와 인권 책에 당당히 등장한다. 현재 할머니가 된 그녀는 대통령의 취임식에 초대받고 여전히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는 연설을 하고 있다.

반대로 그녀에게 적대적인 말을 뱉었던 그 뒤의 사람들은 미국 역사에서 인종차별을 상징하는 얼굴이 되어 평생 부끄러움을 안고 살아야 했다. 그중 한 명인 헤이젤 브라이언은 리틀 록 나인 40주년에 함께했다. 9명 학생의 조각이 서 있는 그 학교에서 둘은 사진을 찍었다. 그 사진은 학교 근처 기념관에서 팔리고 있다. "진정한 화해는 고통스럽지만 공유된 과거를 솔직하게 인정해야만 가능하다"는 글귀와 함께.

어제 오늘, 아산과 진천에서 반대 시위하는 이들은 40년 후 자신의 모습을 당당히 대할 수 있을까 생각하게 된다. 몸도 마음도 약해진 이들을 정치적인 이유로 반대한다면 그것이 바로 정치를 해서는 안 되는 이유이다 싶다. 다행히 많은 아산과 진천 주민들이 이들을 따뜻이 반겨주는 운동을 SNS상에서 벌이고 있다. 같은 교포로서 눈물 나게 고맙고 반갑다. "우리는 서로의 사회안전망입니다. 함께 이겨내요.", "아산의 좋은 기운 받아 무사히 돌아가시기 빕니다.", "진천에서 건강하고 안전하게 쉬었다 가세요."

리틀록 나인을 기록한 사진처럼, 십수 년 후 2020년 1월의 한국 사회를 보여주는 여러 모습 속에서 나는 어떤 얼굴로 숨 쉬고 있을지 생각했으면 좋겠다. 우리의 아들 딸 손주들이 오늘의 나를 자랑스러워할지 부끄러워할지 한번 생각했으면 좋겠다. 그래서 이 코로나 바이러스 시국을 슬기롭게 이겨나갔으면 좋겠다. 우린 지금 다시 한번 역사를 쓰고 있다.